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외계행성 이름 지을 국가대표팀을 모집합니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산하 과학문화 조직인 IAU OAO(Office for Astronomy Outreach) 창립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제임스웹 망원경이 관측할 20개의 외계행성계를 대상으로 이름짓기 공모전(NameExoWorlds 2022)을 개최합니다.
우리나라는 국내 공모전을 열어 최종 대표 한팀과 예비후보팀 두 팀을 선정합니다.


외계행성이란?
태양계 밖 우주에 있는 다른 별(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말합니다.
태양을 도는 행성인 지구처럼, 태양계 밖에도 별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들이 있는 것이죠. 
최초의 외계행성이 발견된 30년 전부터 현재까지 약 5,000개의 외계행성이 발견됐습니다. 
이 외계행성들의 대부분은 과학적 명칭만 지니고 있으며 별도의 고유명사 이름은 없는 상황입니다. 
제2의 지구가 될 수 있는 외계행성을 찾는 것은 현대 천문학계의 가장 큰 화두입니다.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 안내
이번 공모전(NameExoWorlds 2022)은 학생과 교사, 천문학을 좋아하는 일반인, 아마추어 천문학자, 천문학자가 함께 팀이 되어 20개의 외계행성계 목록 중 하나를 택하고 그 이름과 제안 이유를 300자 이내의 글과 3분 길이의 영상으로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에 한국천문연구원은 국내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개최하여 우리나라 대표로 참여할 국가대표팀 한 팀과 예비후보팀 두 팀을 선발합니다. 
접수는 팀 단위로만 가능하며, 반드시 학생(어린이~대학원생)이나 교사를 포함한 2~4인 팀이어야 합니다. 예선을 통과한 열두 팀은 2022년 10월 29일(토) 본선 대회에서 천문학자 또는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멘토와 매칭되어 멘토링을 받습니다. 또한, 제안할 이름에 대한 3분 발표를 통해 최종 세 팀을 선정합니다. 모든 팀의 발표는 최종 결과물 제작을 위해 촬영되며, 촬영물은 연구원 홍보 콘텐츠로도 사용될 예정입니다.
국제천문연맹의 최종선정위원회는 각국이 제안한 3개의 후보를 검토하고 각 외계행성계마다 가장 적합한 이름을 선정하여, 2023년 3월 20일 최종 20개의 외계행성계의 이름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국제천문연맹 IAU 소개
IAU는 약 100개국 13,500명 이상의 천문학자 회원으로 구성된 천문학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기구로, 천체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공식적인 권한을 지니고 있습니다. 
선정된 이름은 영구적이고 어떠한 제약 없이 과학적인 명칭과 함께 국제적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IAU는 이번 행사를 통해 천문학으로 전 세계 여러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 목표라 밝혔습니다.
주최 및 주관
주최: 국제천문연맹
주관: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학회



관련링크
NameExoWorlds 홈페이지 바로가기 사이트 바로가기 
2019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 보도자료 사이트 바로가기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홍보팀 이은지 (042-865-2015 / jiearth94@kasi.re.kr)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대국민홍보팀
콘텐츠 만족도